2015.06.18. 개봉 1978년 부산광역시에서 실제로 일어난 정효주 유괴 사건, 그 중에서도 1차 유괴 사건에서 모티브를 따 온 영화다. 영화(극비수사). 줄거리, 실제, 사건과 다른 점 및 음향 감독 역할을 소개하겠습니다.
영화 (극비수사) 줄거리
1970년대의 유명한 유괴사건 중 하나가 부산의 정효주 유괴사건입니다. 당시 국민학교 2학년인 효주는 1978년, 1979년에 매년 유괴를 당했었습니다. 첫 번째 유괴사건은 33일 만에 구출되었는데, 영화 극비수사 줄거리 실화의 배경이 됩니다. 이 사건에서 무속인을 이용한 최면수사 기법이 도입되고, 두 번째 사건에서는 대통령 성명까지 있었으니 유명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부산에서 현금 알짜부자로 알려진 부잣집의 외동딸 은주가 실종되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집에 가는 길에 낯선 아저씨가 길을 묻는 장면이 나오고, 은주와 친구가 차에 탑니다. 그런데 친구와 집에 돌아오고 은주가 연락이 없자 부모는 경찰에 실종신고를 냅니다. 시간이 흘러도 유괴범의 연락은 없고, 답답한 마음에 엄마(이정은)와 이모가 점집을 찾아다닙니다.. 다들 이미 죽었다는 말만 했습니다. 그러다가 들른 집이 김중산(유해진. 영화 극비수사 실존인물)이었습니다. 직전까지 산에서 기도하다가 왔다는 그는 아이가 살아있다며 희망적인 답변을 줍니다. 김중산은 보름째 되는 날에 유괴범의 연락이 올 것이라고 하면서, 공길용이라는 형사의 사주여야만 아이를 찾을 수 있다고 합니다.(영화 극비수사 결말에서 그의 정체가 반전임) 공길용(김윤석)은 아이의 신변보호를 위해 극비수사를 해야 한다면서 입단속을 시킵니다. 그러다가 부모로부터 김중산에 대한 이야기를 듣습니다. 공길용 형사는 김중산을 찾아가서 쓸데없는 말로 현혹시키지 말라고 충고합니다. 그런데 정말로 아동유괴 사건 보름째 되는 날에 혐박범으로부터 전화가 오고 5천만 원을 요구합니다. 은주의 엄마(이정은)는 유괴범이 시키는 대로 지정 장소로 가지만 그때마다 현장에 나타나지 않으니 경찰도 속수무책입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자 서울 경찰팀이 합류하고 공개수사로 전환됩니다. 그리고 엄마는 몸져눕고 고모가 헛걸음을 계속하게 됩니다. 이때 극비수사 줄거리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김중산(유해진)에게 환영이 나타난 것입니다. 그는 오늘 밤 내로 범인을 잡아야 하며 실패하면 다음 날 변사체로 발견될 것이라고 예언합니다. 그러면서 공범이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데, 이것은 영화적 트릭입니다. 김중산이 알려주는 대로 공길용(김윤석) 팀이 움직여서 결국 범인을 잡게 됩니다. 물론 아이도 부모의 품에 돌아옵니다. 하지만 공범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대로 영화가 끝나지는 않습니다. 이 일로 김중산이 유명해지자 그의 옛 스승이 자신이 예언한 것이었다고 하며 유명세를 타고 싶어 하고, 공길용의 공로를 다른 형사들이 가로채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극비수사 결말은 은주 엄마가 강하게 민원을 제기하여 이들의 공을 되찾아주는 것으로 끝납니다. 그리고... 김중산이 말한 공범은 사실 은유적인 표현입니다. 극비수사 공범을 해석하자면, 7개월 후 정효주가 또 다른 범인에게 납치당하는 것을 상징적으로 말했던 것입니다.
실제사건과 다른 점
극중 형사와 도사의 이름은 실명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신변보호를 위해서인지, 사건 피해자인 여자아이와 아이가 다니던 학교 이름은 가명을 사용했다. 실제로 피해자는 해당 사건으로 매스컴에 알려져 또다시 유괴를 당했는데, 다행히 두번째 사건 때도 무사히 가족에게 돌아왔다. 사건. 피해자인 여자아이가 두 번째 유괴를 당한 원인은 언론에서 무분별하게 피해자인 여자아이의 실명과 다니던 학교를 그대로 보도하여, 두번째 유괴범이 피해자 가정이 부유층인 것을 알고 유괴한 것이 원인이었다. 이 때문에 언론 보도지침이 내려와, 사건 피해자가 다시 다른 사건의 피해자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실명 보도가 제한되었다. 김중산은. 경남사천 곤양태생으로진주고등학교,경희대학교법학과 출신이다. 영화에서는 자연스러움을 살리기 위해유해진이 편한충청도 사투리로 연기를 했다고 한다. 그래서 극 중의 김중산은충청도출신인 것으로 나온다. 실제 김중산은 지역에서 볼 수 있듯 이경상도출신이다.경상도출신이다. 극 중에서 부산에서 철학원을 운영하며, 현재도 부산에서 철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에. 극비로 차려진 수사본부는 예식장이었으나, 작중 시대 배경을 드러내기 위해 유 반장이 수사하는 지하극장으로 바뀌었다. 1970년대 영화 포스터 등이 주변에 널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미술팀이 수고 좀 했다고. 서울의. 수사본부도 소방서인 건 맞는데, 영화 속처럼 소방차가 있는 공간은 아니고, 평범한 사무공간 내에 있었다고 한다. 이 경우미장센을 위한 변경으로, 등장인물들의 대화 장면에서 배경에 보이는 소방차 등의 빨간색으로 긴장감을 조성하기 위해서 바꾸었다고 한다. [1]비슷하게.[1] 미장센을 연출한 장면이 부산 형사들과 서울 형사들의 옷차림. 부산 형사들은 캐주얼하고 후줄근해 보이는, 색도 제각각인 옷차림이지만, 서울 형사들은 머리 모양이고 옷차림이고 다들 말끔하고, 특히 얼룩 한 점 없는 새하얀 와이셔츠로 통일된 것이 특징이다. 대비를 주기 위해 그렇게 정했다고 한다. 소방차 모델은 배경 당시인 1978년을 기반으로 하면, 무려 19년이나 지난 1997년에 출시된 현대 슈퍼트럭 소방차가 있다. 서울. 형사가 여의도에 방송국이 집결해 무선 전파에 혼선이 많다고 공길용 이하 부산 경찰들에게 주의를 주는데, 1978년 당시만 해도 여의도에 방송국이라고는 KBS 뿐이었다. 피해자KBS뿐이었다. 가족들이 아이가 무사히 돌아오길 바라며 방생을 하는 장면은 실제로 있었던 일인데, 당시 장어를 풀어주었기 때문에 제작진들도 그대로 하려고 했지만, 물고기들이 너무 빨리 흩어져버려 그림이 안 나와 결국 줄돔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영화. 예고편에도 나오는, 김중산이 "해가 뜨고 나서 찾으면 아이를 죽어서 찾게 됩니다. 33일을 넘기면 안 돼요!"하고 소리치는 장면도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갑자기 튀어나와서 다짜고짜 못 알아들을 소리를 치는 바람에 당시 공길용은 깜짝 놀랐다고. 사건. 마지막에 아이가 발견된 곳은 만화방이었으나, 영화에서는 이발소로 나온다. 감독은 이곳의 세트를 매우 마음에 들어 했다고 한다. 범인이. 잡히는 장면에서 아이가 아버지의 동료 아저씨를 못 알아봐 범인한테 달려가 안기는 장면이 있는데, 실제로 체포 당시 있었던 일에 기반한 장면이라고 한다. 당시 체포현장에서 피해자는 경찰들에게 "우리 아저씨 왜 잡아가요!"라고 소리쳤다고... 왜냐하면 매석환이 유괴한 동안 아이에게 먹을 것과 옷을 사주는 등 잘 대해주었고, 처음 납치 때 아버지의 친구라고 소개한 것을 진짜로 믿었을 수도 있다.
음향 감독 역할
사운드 감독의 무기고에서 가장 강력한 도구 중 하나는 관객을 이야기의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몰입형 사운드스케이프를 만드는 것이다. 사운드 감독은 우리의 극비 한국 영화에서 이 기술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첫 프레임부터 관객을 사로잡는다. 이들은 대기 음향 효과, 동적 혼합, 오디오 신호의 전략적 배치 등의 조합을 통해 관객을 감싸는 감각적 경험을 만들어 내러티브 속으로 더 깊이 끌어들인다. 예를. 들어, 사운드 디렉터는 중추적인 액션 시퀀스에서 시각적 스펙터클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감정적 이해관계를 높이는 사운드의 교향곡을 조율한다. 모든 폭발, 모든 발 디딤, 속삭이는 모든 대사가 최대한의 효과를 보장하도록 세심하게 균형을 이룬다. 디테일에 대한 이러한 주의는 관객을 그 순간에 몰입하게 할 뿐만 아니라, 크레디트가 굴러가고 한참 후에도 지속적인 인상을 남기며 전체 시청 경험을 향상한다. 음향. 감독 역시 단순한 청각적 몰입을 넘어 영화의 감정적 공명을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러한 측면을 우리의 극비 한국 명작에서 전면에 내세우고, 음향 디자인은 등장인물들의 내면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음향 감독은 음악과 음향 효과, 주변 소음의 전략적 사용을 통해 주인공들의 감정 여정을 반영하는 음향 풍경을 만든다. 예를. 들어, 부드러운 로맨스의 순간이나 가슴을 울리는 상실감의 장면에서 사운드트랙은 우울한 멜로디나 부드럽고 절제된 톤으로 부풀어 올라 관객들의 본능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마찬가지로, 사운드 감독은 긴장감이나 공포의 순간 동안 섬뜩한 사운드스케이프와 거슬리는 오디오 신호로 긴장감을 높여서 관객들을 긴장하게 한다. 사운드 감독은 사운드의 힘을 이용하여 관객들의 감정을 자극함으로써 영화가 끝난 후에도 이야기의 모든 박자가 오래도록 울려 퍼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숙련된 소리 연출가는 소리가 스스로 말하게 할 때와 침묵의 힘을 수용할 때를 알고, 균형의 중요성을 이해한다.